한자 | 綏芬河驛 |
---|---|
중문 | 绥芬河站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흑룡강성 목단강시 수분하시 |
시대 | 현대/현대 |
성격 | 2급 기차역 |
---|---|
면적 | 1,342㎡ |
전화 | 86-453-8994282 |
홈페이지 | http://www.sfhhcz.com/ |
준공 시기/일시 | 1898년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03년 |
이전 시기/일시 | 무 |
개칭 시기/일시 | 1903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1년 1월 10일 |
최초 설립지 | 흑룡강성 목단강시수분하시 참전로 38번지북위:44°23'31.46"동경:131°9'23.17" |
현 소재지 | 흑룡강성 목단강시수분하시 참전로 38번지북위:44°23'31.46"동경:131°9'23.17" |
흑룡강성수분하시에 있는 2급 기차역.
수분하역의 설립과 중동 철도의 설립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1895년, 제정 러시아가 청나라 정부에게 시베리아횡단철도를 청나라 영토까지 연장하자는 제의를 했다. 즉 중국 동북지역에서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까지의 철도를 연결하는 제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 제안이 1986년 6월에 『중러조약』의 맺음으로 이루어졌는데 1989년부터 철도공사가 시작했고 1903년에 중동철도가 개통했다. 이 철도가 개통한 후에 블라디보스토크와 하얼빈시는 모두 비약적인 발전을 얻었다. 당시의 철도는 블라디보스토크부터 시작하여 수분하역이 다섯 번째 기차역이었기 때문에 역사에서 다섯 번째역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최초의 계획으로 따르면 다섯 번째역은 동녕현(東寧縣)에서 설립했어야 하는데 지질 구조 때문에 동녕현과 50㎞거리가 있는 작은 산비탈에서 설치된 것이었다. 이 산비탈이 있는 곳은 바로 오늘날의 수분하시이며 즉 하나의 양국 경계선에 있는 기차역의 설립으로 국경선에서 백년의 역사를 가진 도시를 만들어진 것이다.
수분하역은 국제 대합실과 국내 대합실로 구성되어있다. 국내대합실은 전형적인 러시아스타일의 건축물이고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건물이다. 국제대합실은 1992년에 만든 최초의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선 통로이며 출입국 통로는 최초의 4라인에서 현재의 16라인으로 증축되었다.
수분하역은 중국과 러시아를 통과하는 두 편의 국제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즉 수분하역에서 러시아파그라니치니(Пограничный)까지 가는 402편 열차와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까지 가는 6509편 열차가 있다. 402편 열차는 오전 9시30분에 수분하역에서 출발하여 오후 15시30분에 다시 수분하역으로 돌아오는 열차이며 원칙상으로 중국 여객들만이 탑승할 수 있는 열차이다. 6509편 열차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발하여 오전 10시10분경 수분하역에 도착하고 오후 13시10분 다시 수분하역에서 출발한다. 국내열차를 보면 수분하역에서 출발하여 하얼빈역까지 가는 K7024편과 대련역까지 가는 2728편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수분하역 건물은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해왔다. 역 앞에 있는 도로들이 이미 많이 개축을 했지만 역 건물은 100년 전의 모습은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지금은 수분하시의 문화재로 지정된 수분하시의 상징적인 건축물중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