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松花江 |
---|---|
영문 | Song Hua River |
중문 | 松花江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길림성 |
시대 | 현대/현대 |
성격 | 지명/자연 지명 |
---|---|
면적 | 55.72만㎢ |
길이 | 1,927㎞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3년 12월 |
전구간 | 길림성, 흑룡강성 |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하여 길림성(吉林省)과 흑룡강성(黑龍江省)을 관류하는 흑룡강의 최대 지류 하천.
송화강은 동북의 어머니강으로 불리는데 만주어로 ‘천하’라는 뜻이다.
송화강의 발원지는 두 곳으로 남쪽 발원지와 북쪽 발원지로 나뉜다. 남쪽은 장백산(長白山)의 주봉인 천지에서 발원하고 북쪽은 대흥안령(大興安嶺) 지맥인 이륵호리산(伊勒呼里山) 중부 남쪽의 남옹하(南瓮河)에서 발원한다.
남쪽 발원지에서 시작된 송화강의 총 길이는 958㎞이고 유역 면적은 7.34만㎢로 송화강 유역 총 면적의 14.33%를 차지하며 송화강 총 수량의 39%를 공급한다. 북쪽 발원지에서 시작된 송화강의 총 길이는 1,370㎞이고 유역 면적은 29.7만㎢이며 송화강 유역 면적의 51.9%를 차지한다.
송화강은 부여의 주요 교통로이다. 읍루와의 교통로는 길림시-제2 송화강-제1 송화강-가목사 경로, 길림시-오상[육로]-납림하-제1 송화강-가목사 경로, 길림시-빈현[육로]-제1 송화강-가목사 경로가 있다.
옥저와의 교류는 길림시-제2 송화강-납법하-교하-돈화-두만강 유역으로 이어지는 루트이고, 탁리국과의 교통로는 길림시-제2 송화강-눈강-조원으로 이어진다.
송화강 유역은 북온대 계절풍 기후구에 속하여 사계절이 분명하다. 여름에는 따뜻하고 비가 많으며, 겨울에는 한랭하고 건조하다. 연간 온도차가 비교적 크다.
송화강 유역은 산들이 중첩되고 원시 삼림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장백산, 대흥안령, 소흥안령 등의 목재 측적량은 10억㎥나 되며 중국에서 면적이 가장 큰 삼림 창고이기도 하다.
송화강 유역에는 광산 자원이 풍부한데 주로 석탄과 금, 동, 철 등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송화강 유역의 수자원 총량은 880.28억㎥이고 지표수와 지하수 자원의 합은 851.5억㎥이다. 송화강 유역에는 수력 자원도 풍부한데 주로 서쪽으로 흐르는 송화강의 주류와 눈강 및 목단강과 같은 지류에 비교적 집중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