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頭道白河 |
---|---|
영문 | Toudaobaihe |
중문 | 头道白河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두도백하촌 |
시대 | 현대/현대 |
성격 | 지명/자연 지명 |
---|---|
높이 | 1~3m |
길이 | 82.3㎞ |
폭 | 20~30m |
전구간 |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의 서남쪽, 천지의 북쪽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안도현(安圖縣)의 서남쪽, 천지의 북쪽에 위치한 하천.
두도백하는 흑룡강(黑龍江) 유역의 이도송화강(二道松花江) 수계에 속하는 하천이다. 이 하천은 사계절 내내 얼지 않는 하천으로 동토정자(東土頂子)의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였다.
전체 길이는 82.3㎞이고 물의 깊이는 1m, 최대 유속은 1㎧이다. 홍수기에는 하천의 폭이 30~45m이고 물의 깊이는 1~3m이며 유속은 4㎧이다. 하천의 바닥에는 자갈이 많이 깔려 있다.
두도백하는 ‘하천 중의 으뜸’이라는 뜻으로 머리 두자를 뽑아 지은 이름이다.
전체 길이는 82.3㎞이고 물의 깊이는 1m, 최대 유속은 1m/초이다. 홍수기에는 하천의 폭이 30~45m이고 물의 깊이는 1~3m이며 유속은 4m/초이다. 하천의 바닥에는 자갈이 많이 깔려져 있다.
2011년 4월부터 5월 사이에 두도백하 상류에서 미꾸라지를 분석한 결과 많이 잡히는 미꾸라지의 몸체 길이는 2.2~14.6㎝, 평균 8.8㎝이고 10~12㎝의 미꾸라지와 2~4㎝의 미꾸라지가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구가 큰 미꾸라지 중 자성미꾸라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현저히 높았다. 봄철 이동과정에는 보통 체구가 큰 미꾸라지가 앞장서 가고 작은 미꾸라지가 뒤에 따라간다고 한다.
안도현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鎭) 보마촌(寶馬村)의 두도백하 일대에는 매년 3월이면 중국 국가 1급 보호 동물인 중화추사압(中華秋沙鴨)이라는 새가 날아온다. 현재까지 전 지구에 1,000마리도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