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록강 전설」

한자 鴨綠江 傳說
중문 鸭绿江传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삼두육비|수신
모티프유형 삼두육비를 퇴치한 수신|압록강을 맑게 한 수신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5년 6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정의

길림성(吉林省) 안도현(安圖縣)에서 압록강(鴨綠江)의 푸른 물빛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설화.

개설

「압록강 전설」은 압록강의 물빛이 푸름을 설명하는 신화적 전설이다. 수신(水神)들이 연회로 자리를 비운 사이에 삼두육비(三頭六臂)가 혼탁하게 만든 압록강을 수신들이 다시 맑게 했다는 것을 통해서 수신의 역할을 언급한다. 더불어 압록강이 다른 강보다 푸르다는 것을 강조한다.

채록, 수집상황

1985년 6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안도현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강철순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천지가 개벽한 후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을 각기 세 수신이 다스렸다. 어느 날, 두만강의 수신이 압록강, 송화강의 수신에게 청을 하여 연회를 베풀었다. 평소 각별한 사이였지만, 사정이 여의치 못해 자주 만나지 못했던 터라 세 수신은 십 여 일 간 회포를 풀었다.

그런데 압록강의 수신이 제 물길로 돌아와 보니, 물빛이 혼탁해져 깊은 물속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에 압록강의 수신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보니, 그 곳에서 삼두육비의 형상을 한 황해의 괴수가 흙탕물을 흩뜨리고 있었다.

압록강의 수신은 삼두육비를 쫓으려 했지만, 삼두육비의 도술이 만만치 않아 며칠 간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던 중 이 소식을 접한 두만강, 송화강의 수신이 장백산의 한 물줄기를 터 압록강으로 흐르게 했다.

이에 압록강의 물빛이 깊은 속까지 훤히 비치게 되자, 삼두육비는 더 이상 몸을 숨길 수 없게 되었다. 결국 삼두육비는 다시 황해로 숨어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압록강의 물빛이 여전히 푸름을 간직하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압록강 전설」의 모티프는 ‘삼두육비를 퇴치한 수신’과 ‘압록강을 맑게 한 수신’이다. 한민족의 전통적인 사고에서 강에는 수신[달리 ‘용신’이라고도 함]이 삶을 영위하고 있다. 수신은 수원(水原)을 관장하는 것은 물론 청정한 물빛을 유지케 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압록강 전설」은 전통적인 사고에 기인해 압록강 수신이 삼두육비의 침해를 물리침으로써 여느 강에 비해 더욱 푸른 물빛을 간직할 수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 문학 대계』(한국학 중앙 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압록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