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營口市 |
---|---|
중문 | 营口市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요령성 영구시 |
시대 | 현대/현대 |
성격 | 지급시 |
---|---|
면적 | 5,365㎢ |
인구[남/여] | 249만명 |
개설 시기/일시 | 1866년 |
지급시 | E122.13°N40.39° |
요령성에 속한 지급시.
영구시는 메이거우영(沒溝營)이라 불렸는데, 1861년 메이거우영은 뉴좡(牛莊)을 대신하여 개항되었다. 1866년 이후 청 정부가 메이거우영 항구를 짧게 줄여 잉커우(營口)라고 부르면서 영구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영구시는 서쪽으로 내려가면 발해만·요동만에 접하고 난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에 속한다. 사계절이 분명하고 우기와 더위가 같이 오며 기후는 온화하고 강수가 알맞게 내리고 일조량은 풍족하며 기후 조건이 우월하다는 것이다.
영구시의 평균 기온은 7~9.5°C이고, 연해, 평원, 구릉 일대는 조금 높고 동부의 산지는 조금 낮다. 연 강수량은 670~800㎜이고 우량이 적절하다. 강우 지역이 나뉘는데, 동남부 산간 지역은 비교적 강수량이 많고 서북부 연해 평원 및 구릉 일대는 강수량이 비교적 적으며 동남쪽에서 서북부로 갈수록 적어진다. 일조 시수는 2,600∼2,880시간이고 일조 자원은 풍부하다. 일조 자원은 연해 지대는 많고 동북부 산간 지역은 적어 등치선과 해안선이 평행하다.
영구시는 중국 동북 지역 제2의 항만 도시이다. 현재 40개국 130개 항만과 교류하고 있으며 방직업, 기계공업 등이 발달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