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七臺河市 |
---|---|
중문 | 七台河市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흑룡강성 칠대하시 |
시대 | 현대/현대 |
면적 | 6,223㎢ |
---|---|
인구[남/여] | 93만 명 |
개설 시기/일시 | 1949년 |
변천 시기/일시 | 1970년 |
변천 시기/일시 | 1983년 10월 8일 |
시 | 흑룡강성 동부에 위치 |
흑룡강성에 속한 지급시.
흑룡강성 동부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계서시(鷄西市), 목단강시(牡丹江市), 북쪽으로 가목사시(佳木斯市), 학강시(鶴崗市), 동쪽으로 쌍압산시(雙鴨山市), 서쪽으로 하얼빈시와 이웃하고 있다. 행정 구획은 3개 시 직할구(市轄區) 1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칠대하시는 근처에 흐르는 강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칠대하는 ‘기탑하(奇塔河)’의 음을 한자음으로 변환한 것이며, ‘잡초로 만든 집’이라는 뜻이다.
칠대하는 원래 발리현(勃利縣)에 속해 있었다. 1948년에 칠대하구(七台河區)를 설립했으며, 1951년에 제12구로 명칭을 개명하였다. 1956년 3월, 구역제를 폐지하고 향제를 설립하면서, 칠대하(七臺河), 가자하(茄子河)와 중심하(中心河) 3개 향으로 나뉘었다.
1958년 9월 칠대하인민공사(人民公社)를 설치하고, 같은 해 12월 발리현 석탄 광산을 포함해 칠대하 광구(鑛區)인민공사를 설치했다. 1960년 3월 칠대하진으로 승격 되고 칠대하진인민공사로 불리게 되었다. 1965년 2월 2일 중국 중앙 정부는 칠대하 특구(特區)를 설립하였다. 칠대하 석탄 광산에서 “정기합일(政企合一)” 정책을 시행하였다. 특구 관할 범위로 원래의 관할구역인 발리현에서 칠대하진으로 행정구역을 이동하였다.
1970년 4월 1일 중국 국가 기준에 따라 칠대하 특구를 폐지하고 칠대하시를 설립하고 현급시로 지정했다. 1983년 10월 8일 칠대하시는 현급시에 지급시로 승격되고 성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 동시에 합강 지구(合江地區)의 발리현과 보청현(寶淸縣)의 일부 지역을 칠대하시의 관할로 이전하였다. 1984년 1월 20일 칠대하시에 도산(桃山), 가자하(茄子河), 신흥(新興) 3개 시 직할구역을 만들었다.
2013년 충청북도 증평군과 우호 도시 협약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