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안시

한자 寧安市
중문 宁安市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흑룡강성 목단강시 영안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면적 7,870㎢
인구[남/여] 44만 명 (2010)
변천 시기/일시 1909년 6월 2일
변천 시기/일시 1910년 5월
변천 시기/일시 1993년 2월 12일
노야령 저산 구릉지에 위치
정의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에 속한 현급시.

개설

영안시의 행정 구획은 1개 가도(街道), 7개 진(鎭), 5개 향(鄕)으로 이루어져 있다. 민족향으로는 강남조선족만족향(江南朝鮮族滿族鄕), 와룡조선족향(臥龍朝鮮族鄕) 2개가 있다. 소수 민족의 비율은 대략 총 인구의 19%정도 이며 그 중 만주족은 8.8%, 조선족은 7.8%를 차지한다.

명칭 유래

영안의 원래 명칭은 “영고탑(寧古塔)” 이었다. ‘영고’는 만주어로 숫자 6 혹은 여섯 개를 의미한다. ‘탑(塔)’은 만주어 발음으로는 ‘특(特)’이라는 발음이며 거주지라는 뜻을 가진다. 이 두 가지 의미에서 ‘여섯 개의 큰 부락이 거주했던 지역’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형성 및 변천

영안시는 원래 만주족이 거주했던 지역 중 하나이다. 청나라 때에는 변경 지역의 중요한 7개 진 중 하나였다. 1909년 6월 2일, 영고탑성(寧古塔城)이 설치되고, 1910년 5월 영안부(寧安府)로 개명하였다. 중화민국 성립 이후 영안현으로 지정되었으며, 1929년 2월 일등현(一等縣)으로 평가되었다. 1993년 2월 12일에 영안시로 승격되었다.

자연환경

영안시는 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목단강 하곡 분지와 노야령(老爺嶺) 저산 구릉지에 위치해 있다. 지세는 서남쪽이 높고 동북쪽이 낮으며 시의 외곽은 높고 중간은 낮다. 목단강영안시를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관통한다. 영안시에는 중국 최대 고산 폐색호인 경박호(鏡泊湖)가 있다. 광물 자원으로는 금, 은, 매탄, 수정, 석회, 화산회 등이 있다.

참고문헌
  • 류충걸·김석주·김화, 『흑룡강성조선족 인구와 경제』(연변인민출판사, 2008)
  • 이현국. 『중국 국가 행정 지리』(서울: 인포 차이나, 2009)
  • 중국 행정 구획(http://www.xzqh.org)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