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地溝 遺蹟 |
---|---|
중문 | 地沟遗址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성격 | 생활 유적 |
---|---|
크기 | 동서 길이 약 4㎞, 남북 너비 0.3-1.5㎞ |
면적 | 5,000㎡ |
조성|건립 시기/일시 | 고구려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3년 |
현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유림향 지구촌 |
원소재지 | 길림성 집안현성 유림향 지구촌 |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 유림향(榆林鄕) 지구촌(地溝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생활 유적.
1983년에 충적 대지의 북부 자연 단면에서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지구 유적의 지층 퇴적은 두께 20㎝ 정도의 황갈색 경작층 아래에 두께 50㎝ 정도의 회갈색 유물 포함층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아래는 생토층이다. 회갈색 문화층에서 고구려 시대의 토기편을 비롯하여 철제 보습날 1점, 철제 낫 5점 등 한대(漢代)의 농기구가 출토되었다. 또 동제 솥 2점이 출토되었는데 낙양 소구(洛陽燒溝) 한대 고분 출토품과 동일하다고 한다. 그 밖에 당(唐)·송대(宋代)의 동전도 출토되었다.
지구 유적은 고구려 중기를 전후한 시기의 생활 유적이다. 지구촌 충적 대지에 분포해 있는 고구려고분은 대부분 방단 적석묘와 동실묘로 약간 늦은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파악하여 지구 유적의 연대를 고구려 중기를 전후한 시기로 파악한다. 특히 주변 지역이 상당히 평탄하며 토질이 비옥하고 수원이 풍부한 점으로 보아 사람이 거주하기에 매우 적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유적지에서 출토된 철제 보습날과 철제 낫 등 한대의 선진적인 농기구가 다수 출토되는 것은 이러한 자연 지형과 밀접하게 연관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철제 보습날과 철제 낫 등이 후한대에 중국 대륙에서 직수입된 농기구라면 늦어도 3세기대에는 이 일대에서 이러한 농기구를 사용하여 농사를 지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점에서 지구 유적의 상한은 고구려 초기까지 소급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