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滿蒙 日報 |
---|---|
중문 | 满蒙日报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길림성 장춘시 |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성격 | 신문 |
---|---|
관련인물 | 이경재, 김동만, 김우평, 이용석, 선우일, 염상섭, 박팔양, 전영우, 심형택 |
창간 시기/일시 | 1933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36년 11월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37년 10월 |
1933년 신경(新京)[현 장춘(長春)]에서 창간되었던 친일 경향의 신문.
『만몽 일보』는 일간이었는데 조간 혹은 석간으로 발행되기도 했으며, ‘종합판’, ‘간도 동만판(間島東滿版)’, ‘조선판’과 ‘간도’, ‘북만’, ‘남만’ 특집호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만몽 일보』는 일제와 만주국 정부의 대변지로서, 오족협화(五族協和)[5족은 일본인·한족·조선인·만주족·몽고인을 가리킴]를 고취하고, 재만 조선인의 국민적 자각을 강화하며, 조선인의 황민화 를 적극 주도하여 왕도낙토(王道楽土)[왕도에 의해 다스리는 안락하고 평화로운 땅]를 만드는 것을 자신들의 사명으로 내세웠다. 이러한 사명관에 의해 보도 내용이 조작되었다.
『만몽 일보』는 「가정 문예」(혹은 「가정」), 「학술」, 「시사 해설」, 「일요일 어린이차지」(혹은 「어린이」), 「어린이 독물」(일본어) 등의 고정란을 만들었다. 그리고 거의 매일 단편 소설, 연재 소설, 시 등의 문예 작품을 실었다. 지면의 많은 부분을 ‘레온 세안 크림’, ‘나이론 치마’, ‘에비오소 정’ 등과 같은 일본 상품 광고로 채웠다.
『만몽 일보』는 일제의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발행된 정책 홍보 담당의 성격을 지닌 친일 신문이었다. 『만몽 일보』는 일제가 대륙 팽창주의 야욕을 채우는 데 일조한 신문이었다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