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현화성 소학교

한자 延壽縣 火星 小學校
중문 延寿县火星小学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흑룡강성 하얼빈시 연수현 연안향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소학교
설립자 마을 주민
개교 시기/일시 1943년
폐교 시기/일시 1990년대 중반
최초 설립지 흑룡강성 하얼빈시 연수현
정의

현재의 흑룡강성 하얼빈시 연수현 연안향에 있었던 조선족 소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연수현화성 소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지덕체를 함양하고 조선족의 언어와 문자를 통해 문화적 전통과 미덕을 갖춘 어린이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였다.

변천

연수현화성 소학교는 1943년에 설립되었다. 이 학교는 조선족 어린이들의 취학 문제를 해결하고자 마을 사람들을 동원하여 설립한 것이었다. 설립 초기 학교명은 석가 소학교였으며 당시 제1대 학교장은 강수영이었고 학교규모는 학생 18명, 교원 3명이었다.

그 후 1955년에는 국가의 공식 인정을 받아 사립에서 공립으로 발전하였다. 이어서 1963년에는 학교 규모가 학생 127명, 교원 11명에 달하였다.

교육 활동

화성 소학교에서는 교수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자질 제고에 심혈을 기울였다. 참관 교수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하는가하면 교수안 연구·개발에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했다.

또한 학생들을 전면 발전한 인재로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과외활동과 체육활동을 조직하고 생산 실천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실천 노동 활동도 활발히 진행하였다.

현황

1998년 당시 화성 소학교의 학교장은 이정렬이었다. 학교 규모는 학생 64명(남 29명, 여 35명), 교직원 7명(남 3명, 여 4명)이었다. 당시 학교의 건축면적은 336㎡이었다.

화성 소학교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이루어진 조선족 산재지역 농촌 학교들의 통폐합 추세에 따라 폐교되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1998)
  • 1998년)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 (연변교육출판사. 2005년)
  • 연수현교육정보넷 (http://www.ys.hledu.net)
  • 하얼빈시교육행정넷 (http://www.hledu.net)
  • 흑룡강민족교육넷 (http://www.hljmjw.cn)
  • 동북조선족교육과학연구소 (http://www.dbcjyky.net)
  • 중국조선족중소학교교육자원넷 (http://www.koreannet.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