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東台子 遺蹟 |
---|---|
중문 | 东台子遗址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대도령향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성격 | 고구려 건축지 |
---|---|
크기 | 약 2,400㎡[면적]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5년 |
현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통화현(通化縣) 대도령향(大都岺鄕) 동북에 있는 고구려 취락 유적.
동태자 유적은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대도령향 대도령촌 동북 약 1㎞에 위치하며. 도령하(都嶺河) 좌안 돌출 대지로 주변의 하곡 평지보다 8~10m 정도 높으며, 약 1㎞ 정도의 대지가 펼쳐져 있다. 강이 굽이도는 곳에 도령촌 1대 마을이 있고 그 남쪽 약 100m 지점에 통화-환인(桓仁) 간 도로가 있다. 동태자 북쪽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남쪽으로는 하곡에 닿아 있으며, 동서로는 대지가 펼쳐져 있다.
동태자 유적 문화층의 두께는 0.4~1.2m이며, 전체 면적은 약 2,400㎡이다. 화강암의 산언덕은 남북 길이 250m, 동서 너비 50m로 유물은 동대자 남단의 50×80m의 범위 안에서 비교적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서쪽 산비탈 아래 약 0.8m 지점에서 비교적 많은 토기편이 나왔으며, 산 위에서는 토기편이 극히 적게 출토되었다.
동태자 유적은 1985년 발굴 당시 대체로 보존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동태자 유적의 채집 유물은 돌끌(石鑿), 돌호미(石鋤), 돌괭이(石鎬), 돌칼(石刀)등 석기와 사질 토기(夾砂褐陶), 니질 회색 토기(泥質灰陶), 니질 적색 토기(泥質紅陶片) 등 토기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