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長川 2號 古墳 |
---|---|
중문 | 长川2号墓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청석진 장천촌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성격 | 고구려 고분 |
---|---|
양식 | 봉토 석실분 |
크기 | 주변 길이 143m, 높이 6m |
문물|보호단위등급 | 성급 문물 보호 단위(省級文物保護單位)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72년 4월~5월 |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향백향 장천촌 |
길림성 집안시 동북쪽 황백향 장천촌(長川村) 북쪽 장천 묘구에 있는 고구려고분.
장천 2호 고분은 1972년 4월 하순~5월 상순 사이에 길림성 박물관과 집안현 문물보관소가 발굴 조사를 진행하여 J㎝002로 편호(編号)하였다.
장천 2호 고분은 둘레가 약 143m, 높이는 6m이며, 외관은 절두방추형(截尖方錐形)인 장천 고분군 중 가장 큰 봉토 석실 벽화묘이다. 연도, 좌우 이실(耳室), 용도(用度)와 묘실[널방] 5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묘의 방향은 서남향이다. 연도의 길이는 2.7m, 폭은 1.4m, 높이는 2.1m이며, 연도 후단(後端) 좌우에 이실이 남북 방향으로 붙어 있고 이실과 묘실 사이에 용도가 있다. 이실은 장방형으로 바닥이 용도 바닥 보다 12㎝ 높으며, 폭은 1.1m, 높이는 1.26m이다. 용도는 전체 길이 2.39m, 폭 1.4m, 높이 1.6m이며 도리(門楣)와 문틀(門框)이 있고 2개의 석문이 달려 있다. 묘실은 방형으로 남북 2벽은 모두 3.6m, 동벽, 3.52m, 서벽 3.48m의 길이에 높이는 1.56m, 천정까지의 전체 높이는 3.32m이다. 4중 평행 모줄임(疊澁) 조정(藻井)으로 동벽 남단과 서벽 북단에 바닥에서 1.08m 되는 곳에 각각 금동제 갈고리(鎏金掛鉤)가 남아 있으며, 같은 높이의 남북 양벽에도 각각 5개씩 갈고리 구멍이 있다. 묘실 바닥에 남북으로 돌 관대를 두었으며, 길이는 3m, 폭 1.22m, 높이 0.3m이다.
벽화의 주제는 장식 무늬로 남북 이실에 ‘왕(王)’자로 연속되는 권운문이 그려져 있으며, 용도 끝 묘실 문에는 문지기와 시녀의 모습이, 묘[널방]에는 연꽃과 인동문, 마름모형의 기하학적 문양 등이 그려져 있다.
장천 2호 고분 내에서 모두 60여 건의 유물이 나왔는데 철기로는 저울(錘), 칼(刀), 화살촉, 혁대고리 등이 있으며, 유금류(鎏金類)[도금제]가 비교적 많이 출토되었으며, 도기로는 도자기 편과 부뚜막(竈), 작은잔, 사이호(四耳壺) 등이 나왔다. 관대 위에서 불에 탄 목관 조각과 관 위에 놓여 있던 매화 무늬 장식과 불에 탄 철못(鐵釘), 비단 조각 등이 나왔다. 그리고 갈고리와 불에 탄 판와(板瓦) 등이 나왔다.
장천 2호 고분은 1972년 발굴 조사 이전에 이미 도굴을 당했으며, 돌 관대 위의 목관이 불태워졌던 흔적이 있고, 네 벽면 및 조정 위의 벽화 대부분이 검게 그을렸다. 1980년대 보존을 위해 고분을 봉하였다. 2000년대 초반 안내 표지판을 세우는 등 전반적인 정비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