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중 한인 청년 동맹

한자 在中國 韓人 靑年 同盟
중문 在中韩人靑年同盟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길림시 반석시 호란집창자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한인 청년 운동 단체
설립 시기/일시 1928년 5월 26일
최초 설립지 길림성 반석현 호란집창자
주소 변경 이력 길림성 길림시 반석시 호란집창자
정의

1928년 5월 26일 길림성 반석현 호란집창자(呼蘭集廠子)에서 조직된 한인 청년 운동 단체.

설립 목적

재중 한인 청년 동맹은 한인들의 총 결속, 조선 독립의 완성, 중국 국민 운동 참여, 세계 혁명 완성, 제국주의 전쟁 위기와의 전투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재중 한인 청년 동맹은 1928년 5월 26일 길림성 반석현 호란집창자(呼蘭集廠子)에서 조직되었다. 집행위원은 김만선·최환(崔煥)·이병하(李炳夏) 등이 선임되었고 상무 집행위원회는 김만선[위원장]·황기찬[서무부]·이병하[조직부] 등으로 구성되었다.

재중 한인 청년 동맹의 활동 구역은 모두 11개 구(區)였다. 1928년 9월 기관지로 『청년전위(靑年前衛)』를 발간하였다. 이들은 ML파가 주도권을 장악한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의 외곽 단체 역할을 하였다.

재중 한인 청년 동맹은 민족 유일당 운동 과정에서 개인 본위 조직론을 주장하는 촉성회 계열의 주도 세력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1928년 8월 29일 제19회 국치 기념일을 맞이하여 전 동맹원에게 격함이란 포고문을 통해 한국의 독립과 중국 혁명, 전 세계 피압박 민족과 무산 계급의 해방을 강조하였다.

의의와 평가

재중 한인 청년 동맹은 1920년대 후반 민족 유일당 운동에 호응하여 조직된 독립운동 단체였지만, 국내의 청년 총동맹과 연대보다는 독자성을 지향하였다. 만주 지역에서 유력한 청년 조직인 동만 청년 총동맹에 불참한 사실은 한계성으로 지적된다.

참고문헌
  • 김준엽·김창순, 「재중국한인청년총동맹상황개요」(『한국공산 주의 운동사』 자료Ⅱ, 아세아문제연구소, 1974)
  • 신주백, 『1920~30년대 중국 지역 민족 운동사』(선인, 2005)
  • 이현주,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1920년대 해외 항일 세력의 통일 운동)』 47(경인문화사, 2009)
  • 在上海日本總領事館警察部 第2課 편, 『朝鮮 民族 運動 年鑑』(東文社, 1946)
  • 황민호, 『재만 한인 사회와 민족 운동』(국학자료원, 1998)
  • 김태국, 「재중국 한인 청년 동맹」(『불씨』, 중국 조선 민족 력사 발자취 총서 2, 민족출판사, 1995)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