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휘

한자 李東輝
중문 李东辉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한인사회당 당수,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총리
출생 시기/일시 1873년 6월 20일
수학 시기/일시 한학
활동 시기/일시 1911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2년
활동 시기/일시 1926년
몰년 시기/일시 1935년 1월 31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총리
출생지 함남 단천
거주|이주지 함남 단천
학교|수학지 육군무관학교
활동지 연해주, 상해
정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총리를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이동휘는 육군 무관 학교를 졸업한 후 1902년 강화도 진위대장으로 부임하여 보창 학교를 설립하는 등 계몽 운동에 앞장섰다. 그는 대한 자강회·서북 학회·신민회 회원으로 활동하다가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루었다. 이후 연해주로 망명한 이동휘는 한인 사회당을 결성하는 한편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총리로 취임하였다. 그는 사회주의 이념에 입각한 민족 해방을 주창한 독립 투쟁가였다.

가계

이동휘는 함남 단천 사람으로 아전 이승교(李承橋)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8세까지 군수의 시중을 드는 통인으로 생활하다가 상경하여 육군 무관 학교를 졸업하고 군인으로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이동휘는 1904년 계몽 운동에 투신하고자 강화도에 보창 학교(普昌學校)를 설립하는 등 의무교육 시행에 노력하였다. 이어 군직을 사임한 뒤 대한 자강회 결성에도 관여하는 등 구국 계몽 운동에 적극적이었다. 이동휘는 연기우(延基羽)·김동수(金東洙) 등과 강화도에서 의병을 모의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동휘는 서북 학회 창립에 참여하는 한편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에 참여하여 계몽 운동과 항일 투쟁을 전개하던 중, 1911년 이른바 105인 사건으로 3년간 유배되었다. 외국인 선교사의 도움으로 북간도로 망명하여 국자가에 광성 학교(光成學校)를 설립하고 민족 교육에 힘썼다.

이동휘는 1913년 연해주에서 조직된 권업회(勸業會)에 가담하여 ‘독립 전쟁론’에 입각한 민족 해방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재로 한인(在露韓人)의 민족 운동이 탄압을 받자, 이종호(李鍾浩) 등과 더불어 왕청현 한인촌으로 거점을 옮겨 대전 무관 학교(大甸武官學校)를 설립하고 독립군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이동휘는 1917년 다시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가 볼셰비키에 가담·활동하다가 독일 밀정으로 오인되어 러시아 헌병대에 체포되었다. 석방된 후 한인 사회당을 조직하고 연해주에서 한인 적위군(韓人赤衛軍)을 편성하였다.

1919년 8월 말경 이동휘는 중국상해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총리에 취임한 뒤 임시 정부 내외의 동조 세력을 규합하여 사회주의 운동 확산에 전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그의 노선은 임시 정부 내 다수였던 민족주의 세력과 대립하게 되어 이에 총리직을 사임하였다. 1921년 11월에는 레닌을 만나 200만 루블(RUB)의 독립운동 자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이동휘는 1922년부터 1924년까지 국민 대표회 집행위원과 국민 위원회 고문으로 활동하면서 적기단(赤旗團)과 조선 공화 정부(朝鮮共和政府)를 조직하는 한편 꼬르뷰로[高麗局]의 의원직을 맡았다. 1926년 3월에는 고려 혁명당에서 무장 투쟁 노선과 사회주의 혁명 노선에 입각한 민족 해방 운동을 꾸준히 전개하였다. 이동휘는 1927년부터 1929년까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혁명 운동자와 가족의 구원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 혁명 운동 희생자 구원회(MOPR) 조직 지도원으로 활약했다.

상훈과 추모

이동휘는 1930∼1935년까지 변강 국제 혁명자 후원회 간부로 활약하면서 원동 변경의 한인 거주 지역에 국제 혁명자 후원회 세포를 조직하는 등 열정적으로 활동했다. 그는 1932년 10월 12일 원동 변강 모플로부터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정부에서는 이동휘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5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국가 보훈처, 『대한 민국 독립 유공자 공훈록』 13(1996)
  • 국사 편찬 위원회, 『일제 침략하 한국 36년사』 2·8권
  • 국회 도서관, 『臨時政府議政院文書』
  • 김방, 『이동휘 연구』(국학자료원, 1999)
  • 김정명, 『明治百年史叢書』 1∼3(原書房, 1967)
  • 반병률,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성재 이동휘 일대기』(범우사, 1998)
  • 조선 총독부 경무국, 『국외 용의 조선인 명부』
  •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소, 『성재 이동휘 전서』국학자료원, 1998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