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角觝塚 |
---|---|
중문 | 角觝冢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태왕진 과수촌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성격 | 벽화 고분 |
---|---|
양식 | 장방형식 두 방 무덤 |
크기(높이 | 분구 밑둘레 한 변 약 15m, 높이 4m |
조성 시기/일시 | 5세기 말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35년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6년 |
보수|복원 시기/일시 | 1955년, 1962년, 1963년 |
보수|복원 시기/일시 | 1976년 |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태왕진 과수촌 소재 |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집안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 과수촌(果樹村)여산(如山)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벽화 무덤.
각저총은 1935년에 발견되어 일본인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 등에 의해 조사되었다. 1955년, 1962년 및 1963년에 거듭 무덤 수리가 행해졌고, 1966년 다시 실측되면서 집안 통구 고분군 우산 묘구 제457호묘로 명명되었으며, 1976년 보존을 위해 벽화에 화학 안료의 막을 입혔다.
각저총의 규모는 직경 15m, 높이 4m이고, 봉토는 방대형이다. 구조는 장방향의 앞방[전실]과 시신을 안치하는 방형의 널방[현실], 그리고 이 두 방을 연결하는 통로로 이루어진 두방 무덤[이실묘]이며, 묘실의 방향은 서쪽으로 50° 기울어진 남향이다.
앞방의 크기는 길이 1.2m, 폭 1m, 높이 2.1m이며, 나무와 불꽃 무늬[화염문(火炎文)]가 있으며, 개[맹견] 그림이 있다. 사방의 들보 위에는 3각형의 불꽃 무늬가 이어져 천정을 표시하고 있다.
널방의 네 귀퉁이에는 적갈색의 두공(枓栱)과 도리를 그려 목조 가옥의 인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안벽[北璧] 전면에 화려한 커튼이 처져 있는 내부를 그려 놓은 후, 무덤의 주인공 부부와 그의 처첩, 남녀 시종, 동자 등을 차례로 그려 놓았다. 동벽에는 씨름 그림과 부엌 그림이, 서벽에는 수레와 나무가, 남벽에는 나무가 그려져 있다.
바닥은 널방 좌측 벽 아래에 관상(棺床)의 파편[석판(石板)]이 남아 있으며, 또한 현재의 ㄱ자형 무덤 바깥길[묘도(墓道)]은 무덤 보호상 후대에 만든 것이다.
무덤 안길[용도(甬道)], 앞방, 주실의 벽에도 백회를 바르고 그 위에 벽화를 그렸으나,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백회면이 많이 노출되었고, 그림 또한 크게 훼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