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회분 2호 고분

한자 五盔墳 2號 古墳
중문 五盔坟2号墓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태왕진 과수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고분
양식 기단식 흙무지 돌방무덤(기단봉토석실분)
크기(높이 20m
지름) (한 변의 길이)각 55m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09∼1910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35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2년 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6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이후 수년간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4년 7월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4년∼2005년
소재지 집안시 태왕향 과수촌우산하 고분군북위41°08′113″,동경126°11′675″
정의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집안시(集安市)통구 고분군(通溝古墳群) 산하 우산하 고분군(禹山下古墳群)에 있는 고구려 시대 고분.

위치

오회분 2호 고분집안시우산하 고분군의 중심부 남쪽으로 치우친 곳에 자리한다. 동서로 늘어서 있는 오회분의 다섯개 고분 중 서쪽에서 두 번째 위치한 고분이다. 중심 지리 좌표는 북위 41°08′113″, 동경 126°11′675″이며, 고분 정상의 해발 고도는 223m이다. 서쪽으로 120m 지점에는 오회분 1호 고분이 있으며, 동쪽으로 약 230m를 가면 오회분 3호 고분이 있다. 서북쪽으로 40m 지점에는 오회분 4호 고분이 위치한다. 남쪽으로 30m 정도 가면 집안-과수장(果樹場) 간 도로가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09∼1910년 야쓰이 사이이치[谷井濟一], 구리야마 슌이치[栗山俊一]를 중심으로 한 일본인 학자들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1935년에는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 구로다 겐지[黑田源次], 우메하라 스에지[梅原末治], 미카미 쓰구오[三上次男] 등이 집안의 도성, 중요 고분을 조사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오회분 2호 고분에 대한 조사 역시 이루어졌다.

1962년 봄에 길림성 박물관, 집안현 문물보관소에서 조사를 진행하고, 오회분 2호묘(五盔墳 2號墓)라 명명하였다. 같은 해 봉분을 보수하였다. 1966년에는 통구 고분군에 대한 조사, 실측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오회분 2호 고분은 통구 고묘군(洞泃古墓群) 우산 묘구(禹山墓區) 2102호[JYM2102]라는 편호를 갖게 되었다.

이후 수년간 여러 차례 대규모 조사와 동시에 보존 작업이 진행되었다. 2004년 7월에는 세계 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2004~2005년에 걸쳐 장복유(張福有)·손인걸(孫仁杰)·지용(遲勇) 등이 여러 차례 조사와 실측을 진행하였다. 조사하는 과정에서 묘 표면에 흩어져 있는 다수의 기와 파편을 수습하였다. 이들 기와는 대부분 회색이며 배면에는 새끼줄무늬, 안쪽에는 베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형태

오회분 2호 고분의 규모는 『통구 고묘군』에는 밑면 한 변의 길이가 각 55m, 높이 20m라 하였고, 『집안 고구려 묘장』에서는 분묘의 크기를 둘레 220m, 높이 15m라고 하였다. 오회분의 여러 고분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유형은 기단이 있는 기단식 흙무지 돌방무덤[기단 봉토 석실묘]이며 봉토는 황토이다. 분구는 밑면이 방형인 상태에서 올라가다가 맨 윗부분이 잘린 듯 처리된, 이른바 절두방추형(截頭方錐形)이다. 고분은 아직 발굴이 되지 않아 고분의 내부 구조는 알 수 없다. 고분의 입구는 남쪽으로 나있다.

무덤의 네 변은 돌로 기단을 만들었다. 현재 동쪽과 남쪽 지표면의 기단석만 확인이 가능하다. 남쪽 기단의 길이는 약 70m이며 모두 가공된 화강암으로 축조하였다. 돌의 길이는 약 1m, 너비는 약 0.6m, 높이는 0.4m 정도이다. 서쪽 기단석은 물에 침식되어 없어졌다.

오회분 2호 고분에서 서측으로 3m 지점에는 도랑이 하나 있는데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며 사회분4호 고분과 오회분 2호 고분 사이를 관통한다. 이 도랑은 우산 남쪽 기슭의 진가구(陳家溝)에서 나온다. 원래는 사회분(四盔墳)의 북쪽 100m 지점에서 서쪽으로 흐르다가 다시 오회분 2호 고분 서쪽 100m 지점에서 남쪽으로 꺾어져 흘렀다. 그러나 침식을 겪은 후 흐름이 바뀌어 현재와 같이 흐르게 되었다. 고분의 서남쪽에서 80m 정도 떨어진 지점에는 홍색 기와편들이 다수 흩어져 있다. 기와가 분포된 영역은 대략 80㎡로 오회분 2호 고분을 위한 수묘 혹은 제사 관련 유적일 것으로 보인다.

출토 유물

오회분 2호 고분 자체의 출토 유물은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2004년∼2005년 장복유·손인걸·지용 등이 고분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수습한 기와편이 전해진다. 오회분 1호 고분 주변에서 발견된 기와편들은 회색이며 바깥쪽에는 새끼줄무늬, 안쪽에는 베무늬가 있다. 한편 고분의 서남쪽 약 80m 지점에서 발견된 기와편들은 홍색이 대부분이다.

현황

2004년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어 국가 차원에서 보호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오회분은 연이어 있는 5개의 고분 모양이 투구[盔]와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오회분의 배열을 보면 서쪽에서 동쪽으로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오회분 2호 고분오회분 1호 고분보다 동쪽에 자리하고 있으므로 오회분 1호 고분보다는 늦고 3, 4, 5호 고분보다는 조영 연대가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오회분 2호 고분은 대략 6세기 중반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오회분 2호 고분은 오회분에서는 물론 고구려 흙무지 돌방무덤 가운데서도 규모가 가장 크다. 오회분 2호 고분의 규모와 기세는 이 고분을 왕릉에 비정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특히 장복유는 오회분 1호 고분을 안장왕릉으로 보았다. 오회분에는 다섯 개의 고분이 나란히 있지만 1, 2호 고분은 특히 가깝게 자리하고 있어 이 둘이 특별한 관계임을 시사한다. 장복유 등은 오회분 2호 고분을 안원왕릉으로 비정한 바 있다. 오회분 2호 고분은 그 규모나 기세가 왕릉에 해당되며, 1호 고분과 2호 고분이 특별한 관계에 있으므로 2호 고분의 피장자는 안장왕(安藏王)과 형제 관계였던 안원왕(安原王)일 것이라 추정한 것 같다.

오회분 2호 고분은 큰 규모를 자랑하고, 더욱이 인근에 수묘나 제사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유적지가 있다. 따라서 2호 고분의 피장자가 고구려에서 상당한 지위에 있던 인물이었음은 쉽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바로 오회분 2호 고분이 왕릉임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고구려에 귀장(歸葬) 풍속이 있었는지도 논란이 되는 상황인 데다 왕릉에 비정될 만한 대형 고분들이 평양 지역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평양 천도 이후의 왕릉을 굳이 집안 지역에서 찾아야 할 이유가 희박하다. 따라서 이들의 주장은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참고문헌
  • 朝鮮總督府, 『朝鮮古蹟圖譜』1(名著出版社, 1915)
  • 池內宏, 『通溝』 卷上(日滿文化協會, 1939)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集安縣文物志』(1984)
  • 孙仁杰·迟勇, 『集安高句麗墓葬』(香港亞洲出版社, 2007)
  • 張福有·孫仁杰·遲勇, 『高句麗王陵通考』(香港亞洲出版社, 2007)
  • 張福有, 『高句麗王陵統鑒』(香港亞洲出版社, 2007)
  •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集安市博物館 編著, 『洞泃古墓群』(科學出版社, 2002)
  • 강현숙·백종오·여호규 외,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유물 2-집안 통구 분지편』(동북아역사재단, 201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