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大祚榮 |
---|---|
중문 | 大祚荣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왕족·호족 |
지역 | 길림성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성격 | 왕족 |
---|---|
성별 | 남 |
활동 시기/일시 | 696년 |
활동 시기/일시 | 698년 |
활동 시기/일시 | 713년 |
몰년 시기/일시 | 719년 |
발해의 건국 시조.
대조영은 진국공걸걸중상의 아들이다.
대조영은 696년에 부친 걸걸중상과 함께 영주에서 당나라에 반기를 들고 봉기하였다. 이듬해 걸걸중상이 사망한 후,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들을 거느리고 천문령[현 요령 북진 경내이며 요령 청원 경내라는 설도 있음]에서 당군을 크게 물리치고, 동쪽으로 요하를 건너 말갈의 옛 땅으로 진군한다. 이 시기 동쪽으로 태백산[현 백두산]을 점령하고 주변의 말갈 부락들과 연맹을 강화하면서 세력을 오루하[현 목단강] 일대까지 뻗쳤다.
698년, 백두산 동북쪽의 오루하 유역에서 건국하고, 이름을 진국이라 하고 스스로 ‘진국왕’이 되었다. 당군을 막기 위하여 사신을 돌궐에 파견하고, 신라와 흑수말갈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수립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벌였다.
그는 짧은 시간에 영토를 확장해 나갔다. 그 영역은 대체로 지금의 중국 동북 지역, 한반도대동강 이북 지역, 러시아연해주 지역 등에 해당한다. 발해 초기의 인구는 약 10여 만 호에 달하고, 군대는 수만에 이른다. 당 중종 때 아들을 볼모로 장안에 파견하고 양국의 정상화를 도모하였다. 713년에 당나라로부터 ‘발해군왕 좌효위원외대장군 홀한주 도독’에 책봉되고, 국호를 발해로 고쳤다. 719년에 사망한 후 시호를 고왕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