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표
Timeline
멀티미디어
Multimedia
이용안내
만든 사람들
세계한민족문화대전
전체메뉴
목 차
Contents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분 류
Category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특별한 이야기
Special stories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테마 콘텐츠
Theme contents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전체메뉴
목차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분류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특별한 이야기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테마 콘텐츠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연표
멀티미디어
이용안내
만든 사람들
닫기
통합검색
본문
시청각
홈
중국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목차
목차
분류
특별한 이야기
테마 콘텐츠
삶의 터전(지리)
삶의 터전(지리)
삶의 내력(역사)
삶의 자취(문화 유산)
삶의 주체(성씨·인물)
삶의 틀(정치∙경제∙사회)
삶의 내용1(종교)
삶의 내용2(문화·교육)
삶의 방식(생활·민속)
삶의 이야기(구비 전승·언어·문학)
링크주소복사
프린트
중국
목차
지리
삶의 터전
자연 지리
지질·지형
인문 지리
행정 구역
지명·마을
교통
관광
동식물
동물상
식물상
역사
삶의 내력
전통 시대
고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현대
근대
현대
문화 유산
삶의 자취
유형 유산
유물
유적
항일 독립 운동 유적
무형 유산
기록 유산
성씨·인물
삶의 주체
전통 시대 인물
왕족·호족
문무 관인
종교인
예술인
근현대 인물
독립 운동가
종교인
문인
교육자
정치인
예술인
정치∙경제∙사회
삶의 틀
정치·행정
공공 기관
기관 단체
정책·제도
경제·산업
산업 시설∙시장
경제 단체·기업
특산물
사회·복지
사회 단체
사회·복지 시설
보건 의료
사회·복지 제도·행사
과학 기술
종교
삶의 내용1
불교
유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신종교
문화·교육
삶의 내용2
문화·예술
문화 예술 단체
문화 예술 작품
문화 시설
축제·행사
체육
체육 단체
체육 시설
체육 대회
교육
교육 기관
유아·평생 교육
지원 기관·시설
교육 행사
언론∙출판
방송
출판
신문
생활·민속
삶의 방식
생활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민속
세시 풍속
평생 의례
민간 신앙
민속 놀이
민속 도구
구비 전승·언어·문학
삶의 이야기
구비 전승
설화
민요
언어
문학
문학 단체
문학 작품·작품집
문학상·행사
설화(說話)
조선족 설화(朝鮮族 說話)
만담(漫談)
민담(民譚)
신화(神話)
재담(才談)
전설(傳說)
용정 전설(龙井 傳說)
소가죽 한장(소가죽 한張)
백두 천지 세 산봉(白頭 天池 세 山峰)
숭덕사(崇德寺)
모아산(帽兒山)
노투구(老頭勾)
마반산(磨盤山)
의란 유래(依蘭 由來)
동불사(洞佛寺)
거부기와 토끼
곶감
구경전(狗耕田)
두꺼비보은(두꺼비報恩)
방리득보형 설화(放鯉得宝形 說話)
뱀신랑형 설화(뱀新郞形 說話)
범어머니형 설화
야래자형 설화(夜來子形 說話)
재주있는 형제형 설화(재주있는 兄弟形 說話)
제비보은형 설화(제비報恩形 說話)
천혼형 설화(天婚形 說話)
춘향전(2)(春香傳(2))
삼로인(三老人)
압록강 전설(鴨綠江 傳說)
천지 용과 압록강 용(天地龍과 鴨綠江龍)
제룡소(祭龍沼)
방초 바위
왕의원 늪(王醫員 늪)
천녀화장봉(天女化粧峰)
스님관일대(스님觀日垈)
망향봉(望鄕峰)
떼몰이꾼과 용왕묘(떼몰이꾼과 龍王墓)
남천령(남천嶺)
삼신봉(蔘神峰)
우자늪(牛子늪)
과궁정(卦弓亭)
탑산 장수(塔산 將帥)
선인섬(仙人섬)
서당방리(書堂房里)
도깨비 골짜기
은사늪(隱士늪)
혜산(惠山)
게눈 바위
연두봉(1)(煙阧峰(1))
선인 동굴(仙人 洞窟)
낙화 벼랑(落花 벼랑)
통천굴(通天窟)
신비한 돌기둥
인풍루(引風樓)
조롱박 선녀꽃(조롱박 仙女꽃)
연꽃선자(蓮꽃仙子)
만보굴담(萬寶窟潭)
오녀산(五女山)
돌무지 탑 터(돌무지 塔 터)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
만포(滿抱)
세검정(洗劍亭)
낙화암(落花岩)
고려장 무덤 터(高麗葬 무덤 터)
거북 바위와 자라 바위
우심동 유래(牛心洞 由來)
거북신산(거북神山)
망부석(望夫石)
양어두(羊魚頭)
거북 구들 유래(거북 구들 由來)
잉어담(鯉魚潭)
부처님 물굽이
영호정(英豪亭)
고루자의 밤(高樓子의 밤)
나구소(喇蛅哨)
대수구(大水溝)
망우석(望牛石)
허재골
호산(虎山)
황금재(黃金재)
패왕조 산성(敗王朝 山城)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
의주성(義州城)
선녀담(仙女潭)
통군정 유래(統軍亭 由來)
신선지(神仙池)
망부 바위(亡夫 바위)
상봉 터 유래(相逢 터 由來)
두만강 전설(豆滿江 傳說)
천녀욕궁지(天女浴躬池)
옥녀늪(玉女늪)
홀어머니 바위
적봉(赤峰)
로덕
영상암과 곡창(靈床岩과 穀倉)
장수샘(長壽샘)
계명골의 세 무덤(啓明골의 세 무덤)
국사당(國師堂)
락타봉(駱駝峰)
용과 이성계(龍과 李成桂)
불광을 본 김종서(佛光을 본 金宗瑞)
오랑캐령(오랑캐嶺)
복심(福心)
강팔령(江八嶺)
놋그릇 장사군 뭍
흑룡 바위(黑龍 바위)
달라자
노루왕골(노루王골)
용천골(1)(龍泉골(1))
장사발자국
자라 바위
장사 못(壯士 못)
백룡(白龍)
수항루(受降樓)
범진령(虎陳嶺)
구새 바위
귀인상봉산(貴人相逢山)
정암(亭巖)
양수(良水)
장수 싸움터(將帥 싸움터)
도끼 떨군 물굽이
자매 바위(姉妹 바위)
연두봉(2)(煙斗峰(2))
관문(關門)
룡당사(龍塘寺)
반성(半城)
오누이 샘
장수 바위(將帥 바위)
게 바위
용두산(龍頭山)
팔련성(八連城)
회룡봉(回龍峰)
아흔 아홉 굽이 물곬
남릉산과 여릉산(南陵山과 女陵山)
연성산(連城山)
금당(金塘)
해당화(海棠花)
련꽃늪(蓮꽃늪)
장고봉(長鼓峰)
불탑산(佛塔山)
적지(赤池)
녹둔도(鹿屯島)
적섬(赤섬)
천지(天池)
천지 속의 의원 선녀(天池 속의 醫員 仙女)
천지가에 솟은 봉우리(天池가에 솟은 봉우리)
천활봉을 쪼갠 사나이(天活峰을 쪼갠 사나이)
백두수림 속의 쇄자새(白頭樹林 속의 쇄자새)
까마귀 바위
소룡담(小龍潭)
송화강 유래(松花江 由來)
송화 선녀(松花 仙女)
약샘(藥샘)
백룡간(白龍澗)
칠성지(七星池)
메밀과 메밀산(메밀과 메밀山)
바둑판 바위
고동하(古洞河)
선인 동굴(仙人 洞窟)
마골사(馬骨寺)
관제묘와 뇌음사(關帝廟와 雷音寺)
서리구(鼠李溝)
탕하 유래(湯河 由來)
선인교(仙人橋)
망자석(望子石)
왕자늪(王子늪)
부엌돌이 터(부엌돌이 터)
태평천(太平川)
보마성 유래(寶馬城 由來)
효자동(孝子洞)
자라섬
무적소(無敵沼)
혁명군 골짜기(革命軍 골짜기)
‘복’ 자 든 지명 유래(福 字 든 地名 由來)
무덤령(무덤領)
삿갓봉
흥성동(興盛洞)
송씨동(宋氏洞)
촛대 바위
우재골
곽생동
한자샘물
약수 동굴(藥水 洞窟)
부녀망지(父女亡地)
호신당 터(湖神堂 터)
두룡봉(두龍峰)
천불붙이
장왕 동굴(藏王 洞窟)
초모정자(草帽頂子)
묘율령(妙燏嶺)
도룡봉
박조감 터
탑자구(塔子溝)
사흘갈이 늪
마적달(馬滴達)
물방아골
발해 절터 유래(渤海 절터 由來)
북적거리 유래(북적거리 由來)
만두봉(饅頭峰)
양도사골
태평동(太平洞)
차대인하(車大人河)
노하령(老하嶺)
암캐 바위와 수캐 바위
산삼 우물(山蔘 우물)
신선봉(神仙峰)
홍기하(紅旗河)
낙타하(駱駝河)
팔과수(八果樹)
칠성빛 늪
혼춘땅 강냉이(琿春땅 강냉이)
신선정자(神仙亭子)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
‘용호’ 석각에 깃든 사연(‘龍虎’ 石刻에 깃든 事緣)
동포대와 서포대(東砲隊와 西砲隊)
항일 투사 황병길(抗日 鬪士 黃炳吉)
북일 중학교 옛 터(北一 中學校 옛 터)
씨름장의 이야기(씨름場의 이야기)
가야하도 울었다(가야河도 울었다)
게와 원숭이
경박호 흑룡담과 삼태성 전설(鏡泊湖 黑龍潭과 三台星 傳說)
고양이와 개가 철천지 원쑤가 된 사연(고양이와 개가 徹天之 원쑤가 된 事緣)
기생 봉선아씨(妓生 鳳仙아씨)
부서진 옥을 바치다(부서진 玉을 바치다)
꺽다리 손철운(꺽다리 孫哲云)
끓는 물을 들씌우다
녀전사와 애기(女戰士와 애기)
단오 이튿날에 있은 일(端午 이튿날에 있은 일)
닭으로 소를 바꾸기
동생 대신에 사형장에 나서다(동생 대신에 死刑場에 나서다)
동해에 뱅어가 생긴 유래(東海에 뱅어가 생긴 由來)
룡과 봉황의 배필(龍과 鳳凰의 配匹)
목도리를 두른 이야기
목동과 선녀(牧童과 仙女)
무산식당 주인 최기수(茂山食堂 主人 崔奇秀)
발해의 거울(渤海의 거울)
발해 왕궁 전설(渤海 王宮 傳說)
백마에 깃든 이야기(白馬에 깃든 이야기)
보태산(保太山)
봉황새 바위(鳳凰새 바위)
북두칠성(北斗七星)
붉은 넥타이
빠이탠 커이
사람에게 머리칼이 있는 리유(사람에게 머리칼이 있는 理由)
새매가 생겨난 유래(새매가 생겨난 由來)
손원금의 이야기(孫元金의 이야기)
신기한 맷돌(神奇한 맷돌)
신창동 전투(新昌洞 戰鬪)
안순화의 일화(安順花의 逸話)
약수동의 애솔나무(藥水洞의 애솔나무)
왕덕산(王德山)
외숙이 중매를 서다(外叔이 仲媒를 서다)
우랑과 직녀(牛郞과 織女)
이성계 해몽(李成桂 解夢)
일송정에 깃든 이야기(一松亭에 깃든 이야기)
자위단 단장의 딸(自衛團 團長의 딸)
죽지 않는 사람
쥐가 고양이를 두려워하는 리유(쥐가 고양이를 두려워하는 理由)
지금 호랑이가 드문 리유(至今 호랑이가 드문 理由)
지혜롭게 출하곡을 얻다(智慧롭게 出荷糓을 얻다.)
총각이 스스로 색시감을 찾다(總角이 스스로 색시감을 찾다)
최순사의 이야기(崔巡査의 이야기)
축지법을 쓰다(縮地法을 쓰다)
항일에 나선 최씨의 아내(抗日에 나선 崔氏의 아내)
향수촌의 전설(響水村의 傳說)
호랑이가 곤쥐를 무서워하는 리유(虎狼이가 곤쥐를 무서워하는 理由)
호미도 신식무기(호미도 新式武器)
황태룡의 이야기
황정해의 탈출기(황정해의 脫出記)
단군(檀君)
소년 류리(少年 瑠璃)
을불의 초년 고생(乙佛의 初年 苦生)
효부종(孝婦鍾)
박혁거세(朴赫居世)
잉어 몇 마리로 적을 물리친 을두지(잉어 몇 마리로 敵을 물리친 乙頭智)
방아타령(방아打令)
명필 한석봉(名筆 韓石峯)
도미와 그의 안해(都彌와 그의 안해)
명기 로화(名妓 路花)
바보온달과 평강 공주(바보溫達과 平岡公主)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오성대감 리항복-목숨으로 친구를 살리다(鰲城大監 李恒福-목숨으로 친구를 살리다)
풍류객 양녕대군(風流客 讓寧大君)
선덕여왕의 예언(善德女王의 豫言)
화랑도(花郞徒)
정승을 골려준 기생-설매(政丞을 골려준 妓生-雪梅)
질투많은 승지의 처와 평양기생(嫉妬많은 承旨의 妻와 平壤妓生)
황정승에 대한 이야기-늙은 농부와 두 황소(黃政丞에 대한 이야기-늙은 農夫와 두 黃소)
호랑이를 쫓아낸 강감찬(虎狼이를 쫓아낸 姜邯贊)
리황의 일화(李滉의 逸話)
첫날밤의 약속(첫날밤의 約束)
강감찬장군(姜邯贊將軍)
재상이 된 농부(宰相이 된 農夫)
암행어사 김우항과 기생 홍도(暗行御史 金宇恒과 妓生 紅桃)
우륵에 대한 이야기(于勒에 대한 이야기)
설랑과 가실이(薛娘과 嘉實이)
천관사의 유래(天官寺의 由來)
툭툭이(툭툭이)
퇴계선생과 외조부(退溪先生과 外祖父)
방귀 뀌고 얻은 벼슬
절 두 번에 얻은 벼슬(절 두 番에 얻은 벼슬)
고주몽(高朱蒙)
서동과 선화공주(薯童과 善花公主)
진성여왕의 음란(眞聖女王의 淫亂)
왕자 호동과 낙랑공주(王子 好童와 樂浪公主)
남이 장군(南怡 將軍)
을파소(乙巴素)
솔거와 로송도(率居와 老松圖)
방랑시인 김삿갓(放浪詩人 金삿갓)
시골녀인한테 매를 맞은 덕에 과거에 급제했다(시골女人한테 매를 맞은 덕에 科擧에 及第했다)
파경노(破鏡奴)
회초리
화석정(花石亭)
효부와 호랑이(孝婦와 虎狼이)
해동성국의 대조영(海東盛國의 大祚榮)
옥섬탄(玉蟾灘)
파직당한 림제(罷職당한 林悌)
부득과 박박(夫得과 朴朴)
김유신(金庾信)
백제의 멸망(百濟의 滅亡)
렴서방의 여경(廉서방의 餘慶)
명기 매화(名妓 梅花)
명기 일타홍과 심일송(名妓 一朶紅과 沈一松)
김만중의 사씨남정기와 구운몽(金萬重의 謝氏南征記와 九雲夢)
박문수암행어사의 첫날(朴文秀暗行御史의 첫날)
황진이(黃眞伊)
토끼전(토끼傳)
효녀 심청(「孝女 沈淸」)
춘향전(3)(春香傳(3))
박어사와 평양 명기 노화(朴御史와 平壤名妓 路花)
벽동군수(碧潼郡守)
선비의 딸과 가토정승(선비의 딸과 家兎政丞)
임진사와 그의 며느리(臨進士와 그의 며느리)
림백공(림백공)
발해왕 발터와 뽕나무(渤海王 발터와 뽕나무)
천생배필(天生配匹)
례는 정에서 나온다(禮는 情에서 나온다)
지주와 총명한 아이(地主와 聰明한 아이)
금강산신선이 된 나무군총각(金剛山神仙이 된 나무군總角)
안장왕과 구슬아기(安臧王과 구슬아기)
귀돌이와 천문도사(귀돌이와 天文道士)
며느리 글덕을 입다(며느리 글德을 입다)
주원장과 이성계(朱元璋과 李成桂)
소년부사(少年府使)
구석편과 용녀(驅石鞭과 龍女)
태원의 세 가지 보배(太原의 세 가지 寶貝)
마릉도상에서 일만대의 화살을 안기다(馬陵都上에서 一萬臺의 화살을 안기다)
이백의 일화(李白의 逸話)
한 장의 편지로 나라 기개를 떨치다(한 장의 便紙로 나라의 氣槪를 떨치다)
글 잘하는 소소매(글 잘하는 蘇小妹)
화공과 선비(畵工과 선비)
배은망덕(背恩忘德)
뱀처녀(뱀處女)
총각과 세아씨(總角과 세아씨)
코가 긴 형님(코가 긴 兄님)
장생불로초(長生不老草)
팔선녀(八仙女)
구두령과 구룡담(九頭嶺과 九龍潭)
백두산 아래 첫 동네의 유래(白頭山 아래 첫 동네의 由來)
금제의 이야기(金帝의 이야기)
금강산 숯구이 총각(金剛山 숯구이 總角)
제자를 장가들인 훈장(弟子를 장가들인 訓長)
홍감사 금강산 구경(洪監司 金剛山 구경)
지혜로 원이 되다(智慧로 員이 되다)
욕심쟁이의 끝장(욕심쟁이의 끝장)
백두산 신령(白頭山 神靈)
인간백정과 화냥년(人間白丁과 화냥년)
최계순의 비사
노루와 돌쇠
천수(天水)
물
용천골(2)(龍泉골(2))
박지형
선량한 바위(善良한 바위)
해란강(海蘭江 2)
육형제(六兄弟)
별천지(別天地)
어머니의 마음
올가미전투(올가미戰鬪)
정찰반장 김봉숙
천도복숭아(天桃복숭아)
청량샘(淸凉샘)
구일라자(九日羅子)
구룡평촌(九龍坪村)
옹성라자(瓮聲砬子)
용정의 전설(龍井의 傳說)
거북산(거북山)
모자툰이야기(母子屯이야기)
황송포(黃松浦)
장고봉전설(張高峰傳說)
용천골(3)(勇泉골(3))
해란강(海蘭江)
천지(天池)
우심산(牛心山)
목단촌(牧丹村)
명월구의 유래(明月溝의 由來)
재미내골(재미내골)
금강봉(金剛峰)
개미산둔(개미산屯)
매염촌(埋鹽村)
마곡성툰(馬哭聲屯)
장록객재(張綠客재)
천보산(天寶山)
폐문촌(閉門村)
총각부인골(總角婦人골)
천교령(天橋嶺)
기린바위(麒麟바위)
붓끝바위
모아산에 얽힌 전설(帽兒山에 얽힌 傳說」)
대정자산(大頂子山)
선경대의 감로수(仙景臺의 甘露水)
발해왕샘우물(渤海王샘우물)
룡왕옥지(龍王玉池)
신선동 약수샘(신선동 藥水샘)
항일련군동굴(抗日聯軍洞窟)
삼도백하(三道白河)
장흥하(長興河)
복흥하(福興河)
물가재강(물가재江)
남매강(男妹江)
이통하와 첨산자산(伊通河와 첨산자山)
홍범도골(洪範圖골)
우출골(牛出골)
홀롱재골
거꾸로 신은 산골짜기
참외밭골
며느리골짜기
찔광이골
여덟 형제 골짜기(여덟 兄弟 골짜기)
천명산 진교절의 유래(天明山 鎭蛟절의 由來)
항일군사당(抗日軍祠堂)
해방을 예언한 출성무덤(解放을 豫言한 出星무덤)
국경없는사랑의 무덤(國境없는 사랑의 무덤)
손자를 구해준 할아버지무덤(孫子를 구해준 할아버지무덤)
마우재다리
금다리(金다리)
주서기의 논(朱書記의 논)
판룡송(阪龍松)
란니골의 신령수(란니골의 神靈樹)
세 자매송(세 姉妹松)
료령의 돌사자(鐃鈴의 돌사자)
뽕나무골이야기
천냥골(千냥골)
매돌골
엽전골(葉錢골)
태평골(太平골)
혼비백산골(魂飛魄散골)
금소골짜기
문식이호박골
인삼골(人蔘골)
석문산비석(石門山碑石)
룡호석각(龍虎石刻)
명월강이라 부른게 된 연유(明月江이라 부르게 된 緣由)
만량하(萬量河)
반석하(磐石河)
대우하(大牛河)
흑룡강(黑龍江)
비취호(翡翠湖)
은전늪(銀錢늪)
눈물의 호수(눈물의 湖水)
선녀동굴의 선녀이야기(仙女洞窟의 仙女이야기)
두 소녀산(두 小女山)
남천문과 살구선녀(남천門과 살구仙女)
속담(俗談)
구비 전승(口碑 傳承)
연변 창담(延邊 唱談)
김덕순 고사집(金德順 故事集)
팔선녀(八仙女)
백일홍(百日紅)
백일홍(百日紅)
삼태성(三台星)
조선족 민간 문학 자료집(朝鮮族 民間 文學 資料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