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표
Timeline
멀티미디어
Multimedia
이용안내
만든 사람들
세계한민족문화대전
전체메뉴
목 차
Contents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분 류
Category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특별한 이야기
Special stories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테마 콘텐츠
Theme contents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전체메뉴
목차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분류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특별한 이야기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테마 콘텐츠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연표
멀티미디어
이용안내
만든 사람들
닫기
통합검색
본문
시청각
홈
중국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목차
목차
분류
특별한 이야기
테마 콘텐츠
삶의 터전(지리)
삶의 터전(지리)
삶의 내력(역사)
삶의 자취(문화 유산)
삶의 주체(성씨·인물)
삶의 틀(정치∙경제∙사회)
삶의 내용1(종교)
삶의 내용2(문화·교육)
삶의 방식(생활·민속)
삶의 이야기(구비 전승·언어·문학)
링크주소복사
프린트
중국
목차
지리
삶의 터전
자연 지리
지질·지형
인문 지리
행정 구역
지명·마을
교통
관광
동식물
동물상
식물상
역사
삶의 내력
전통 시대
고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현대
근대
현대
문화 유산
삶의 자취
유형 유산
유물
유적
항일 독립 운동 유적
무형 유산
기록 유산
성씨·인물
삶의 주체
전통 시대 인물
왕족·호족
문무 관인
종교인
예술인
근현대 인물
독립 운동가
종교인
문인
교육자
정치인
예술인
정치∙경제∙사회
삶의 틀
정치·행정
공공 기관
기관 단체
정책·제도
경제·산업
산업 시설∙시장
경제 단체·기업
특산물
사회·복지
사회 단체
사회·복지 시설
보건 의료
사회·복지 제도·행사
과학 기술
종교
삶의 내용1
불교
유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신종교
문화·교육
삶의 내용2
문화·예술
문화 예술 단체
문화 예술 작품
문화 시설
축제·행사
체육
체육 단체
체육 시설
체육 대회
교육
교육 기관
유아·평생 교육
지원 기관·시설
교육 행사
언론∙출판
방송
출판
신문
생활·민속
삶의 방식
생활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민속
세시 풍속
평생 의례
민간 신앙
민속 놀이
민속 도구
구비 전승·언어·문학
삶의 이야기
구비 전승
설화
민요
언어
문학
문학 단체
문학 작품·작품집
문학상·행사
무용 작품
기병춤(騎兵춤)
납
논물 관리원(논물 管理員)
농악무(農樂舞)
도라지 꽃
떡메춤
똬리춤
물동이춤
무장춤(武裝춤)
방치춤
벼이삭 여물었네
벼짚춤
상모춤(象帽춤)
서혼(書魂)
손북춤
양돈 처녀(養豚 處女)
장백의 폭포(長白의 瀑布)
재단사춤(裁斷師춤)
절구춤
접시춤
조선족 농악무(朝鮮族 農樂舞)
조선족 장고춤(朝鮮族 長鼓춤)
조선족 칼춤(朝鮮族 칼춤)
조선족 학춤(朝鮮族 학춤)
조선춤(朝鮮춤)
키춤
풍년을 노래하다(豊年을 노래하다)
학춤(鶴춤)
미술 작품
음악 작품
고개길
고향생각(故鄕생각)
깜둥처녀(깜둥處女)
노인절가(老人節歌)
눈물젖은 두만강(눈물젖은 豆滿江)
눈이 내린다
늙은 량주의 대창(듀엣)(늙은 兩主의 對唱(듀엣))
동년의 뜨락(童年의 뜨락)
동북 인민 행진곡(東北 人民 行進曲)
뜨락또르 모는 총각(뜨락또르 모는 總角)
베짜기 노래
봄비가 내리네(봄비가 내리네)
사랑의 푸른 하늘
산간 마을에 드리는 노래(山間 마을에 드리는 노래)
산골에도 만풍년일세(산골에도 滿豊年일세)
산골처녀(山골處女)
석두 어루화(石頭 어루화)
선구자(先驅者)
선생님 들창가 지날 때마다(先生님 들窓가 지날 때마다)
소나기 운다
손풍금타는 총각(손風琴타는 總角)
숙명(宿命)
아름다운 나의 고향(아름다운 나의 故鄕)
아리랑(3)
아버지산 어머니강(아버지山 어머니江)
아침해 솟았네
안해의 마음
앵코타기
엄마 생각
여량수레 령 넘어가네(餘糧수레 嶺 넘어가네)
연변목가(延邊牧歌)
연변은 언제나 봄일세(延邊은 언제나 봄일세)
연변은 좋은 곳(延邊은 좋은 곳)
용정의 노래(龍井의 노래)
우등불
울고 웃는 정거장(울고 웃는 停車場)
유격대 행진곡(遊擊隊 行進曲)
자치주창립의 노래(自治州創立의 노래)
장백산 아리랑(長白山 아리랑)
장백의 진달래(長白의 진달래)
전사의 미혼처 노래 부르네(戰士의 未婚妻 노래 부르네)
젊은 탐사대원의 노래(젊은 探査隊員의 노래)
좋은 종자 가려내세(좋은 鍾子 가려내세)
착실한 감농군(착실한 감農軍)
처녀의 노래(處女의 노래)
첫 수확(첫 收穫)
청주 아리랑-고향의 노래(靑州 아리랑-故鄕의 노래)
춘향전(1)(春香傳(1))
회연-잊혀진 귀향의 소리 청주아리랑(回緣-잊혀진 歸鄕의 소리 靑州아리랑)
흥개호 어부의 노래(興凱湖 漁夫의 노래)
항일 가요 작품
9.18 사변가(9.18 事變歌)
결사전가(決死戰歌)
권학가(勸學歌)
동북 인민 혁명 군가(東北 人民 革命 軍歌)
미나리 타령(미나리 打令)
반일가(反日歌)
반일전가(反日戰歌)
승전가(勝戰歌)
신흥 무관 학교 교가(新興 武官 學校 校歌)
십진가(10진歌)
연길 감옥가(延吉 監獄歌)
용진가(勇進歌)
용진가[김좌진](勇進歌)
월강곡(越江曲)
의병가(義兵歌)
이천만 동포야 일어나거라(二天萬 同胞야 일어나거라)
자유가(自由歌)
자장가(자장歌)
작대가(作隊歌)
최후의 결전(最後의 決戰)
학도가(學徒歌)
항일전가(抗日戰歌)
연극 작품
4.6 제(4.6 制)
800호 갑판(800號 甲板)
강제 징병(強制 徵兵)
개똥이와 이뿐이
게다짝이 운다
경숙의 죽음
경축 대회(慶祝大會)
곽첨지 사는 마을(郭僉知 사는 마을)
괴상한 청년(怪狀한 靑年)
국경의 밤(國境의 밤)
기러기
꼬맹이 참군(꼬맹이 參軍)
너, 이놈
단심줄(斷心줄)
담뱃불
두만강변(豆滿江邊)
리홍광(李紅光)
무당과 의원(巫堂과 醫員)
민며느리
밀림의 고백(密林의 告白)
북경의 밤(北京의 밤)
북방에 종이 운다(北方에 鐘이 운다)
불길(불길)
붉은 태양이 솟아 오른다(붉은 太陽이 솟아 오른다)
상해의 밤(上海의 밤)
새로운 기발 바람에 나붓긴다
승리의 혈사(勝利의 血史)
아리랑(5)
아버지와 남편을 찾는 사람들
안중근(安重根)
야학으로 가는 길(夜學으로 가는 길)
엉터리 이발관(엉터리 理髮館)
여명 전후(黎明 前後)
엿물벼락
우리의 처녀(우리의 處女)
유언을 받들고(遺言을 받들고)
적의 심장 속에서 투쟁(敵의 心臟 속에서 鬪爭)
조선의 딸(朝鮮의 딸)
지뢰수 조성두 용사
지주와 머슴(地主와 머슴)
탈출기(脫出記)
태항산에서(太行山에서)
토성
특무잡이(特務잡이)
파랑새
파천당(破天堂)
평강공주(平岡公主)
풍장(風葬)
한국의 한 용사(韓國의 한 勇士)
혁명가의 안해(革命家의 안해)
혈투(血鬪)
혈해(血海)
영화·다큐멘터리 작품
11세(11歲)
2009 로스트 메모리즈
5년의 기록, 압록강 2천리 사람들(5年의 記錄, 鴨綠江 2千里 사람들)
경계(境界)
고종황제와 의사 안중근(高宗皇帝와 義士 安重根)
광야의 결사대(曠野의 決死隊)
광야의 호랑이(曠野의 호랑이)
군용열차(軍用列車)
궤도(軌道)
다찌마와 리-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다찌마와 리-惡人이여 地獄行 急行列車를 타라)
당나귀 무법자(당나귀 無法者)
당시(唐詩)
대추나무
도마 안중근(도마 安重根)
두만강 사람들(豆滿江 사람들)
두만강[영화](豆滿江)
두만강아 잘 있거라(豆滿江아 잘 있거라)
마적(馬賊)
망루의 결사대(望樓의 決死隊)
망종(芒種)
무숙자(無宿者)
방황하는 고급 두뇌들-해란강에 핀 동포애(彷徨하는 高級 頭腦들-海蘭江에 핀 同胞愛)
복지만리(福地萬里)
북경열차(北京列車)
불붙는 대륙(불붙는 大陸)
빙화(氷花)
서서자는 나무
석양의 불청객(夕陽의 不請客)
소만국경(蘇滿國境)
송화강의 삼악당(松花江의 三惡黨)
쇠사슬을 끊어라
안중근 사기(安重根 史記)
압록강 두만강 3300리(鴨綠江 豆滿江 3300里)
압록강아 말하라(鴨綠江아 말하라)
애꾸눈 박(애꾸눈 朴)
엄니 곱니 아빠 곱니-조선족 아이들(엄니 곱니 아빠 곱니-朝鮮族 아이들)
여마적(女馬賊)
영(影)
의사 안중근(義士 安重根)
이리(裡里)
일송정 푸른솔은(一松亭 푸른솔은)
작별들(作別들)
정복자(征服者)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중경(重慶)
중국 경상도 마을 사람들(中國 慶尙道 마을 사람들)
지나가의 비밀(지나街의 秘密)
지원병(志願兵)
지평선(地平線)
첫봄
푸른강은 흘러라(푸른江은 흘러라)
풍경(風景)
풍운아(風雲兒)
황야의 독수리(荒野의 독수리)
황야의 외팔이(荒野의 외팔이)
황해(黃海)
창담(唱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