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표
Timeline
멀티미디어
Multimedia
이용안내
만든 사람들
세계한민족문화대전
전체메뉴
목 차
Contents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분 류
Category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특별한 이야기
Special stories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테마 콘텐츠
Theme contents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전체메뉴
목차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분류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특별한 이야기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테마 콘텐츠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연표
멀티미디어
이용안내
만든 사람들
닫기
통합검색
본문
시청각
홈
중국
중국
북미
일본
CIS (독립국가연합)
목차
목차
분류
특별한 이야기
테마 콘텐츠
삶의 터전(지리)
삶의 터전(지리)
삶의 내력(역사)
삶의 자취(문화 유산)
삶의 주체(성씨·인물)
삶의 틀(정치∙경제∙사회)
삶의 내용1(종교)
삶의 내용2(문화·교육)
삶의 방식(생활·민속)
삶의 이야기(구비 전승·언어·문학)
링크주소복사
프린트
중국
목차
지리
삶의 터전
자연 지리
지질·지형
인문 지리
행정 구역
지명·마을
교통
관광
동식물
동물상
식물상
역사
삶의 내력
전통 시대
고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현대
근대
현대
문화 유산
삶의 자취
유형 유산
유물
유적
항일 독립 운동 유적
무형 유산
기록 유산
성씨·인물
삶의 주체
전통 시대 인물
왕족·호족
문무 관인
종교인
예술인
근현대 인물
독립 운동가
종교인
문인
교육자
정치인
예술인
정치∙경제∙사회
삶의 틀
정치·행정
공공 기관
기관 단체
정책·제도
경제·산업
산업 시설∙시장
경제 단체·기업
특산물
사회·복지
사회 단체
사회·복지 시설
보건 의료
사회·복지 제도·행사
과학 기술
종교
삶의 내용1
불교
유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신종교
문화·교육
삶의 내용2
문화·예술
문화 예술 단체
문화 예술 작품
문화 시설
축제·행사
체육
체육 단체
체육 시설
체육 대회
교육
교육 기관
유아·평생 교육
지원 기관·시설
교육 행사
언론∙출판
방송
출판
신문
생활·민속
삶의 방식
생활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민속
세시 풍속
평생 의례
민간 신앙
민속 놀이
민속 도구
구비 전승·언어·문학
삶의 이야기
구비 전승
설화
민요
언어
문학
문학 단체
문학 작품·작품집
문학상·행사
근대(近代)
일제 강점기(日帝强占期)
만주(滿洲)
만주국(滿洲國)
4보 39사(4堡 39社)
731 부대(731 部隊)
간도 구제회(間島 救濟會)
간민 교육회(墾民 敎育會)
간도 대한 국민회(間島 大韓 國民會)
간도 시찰사(間島 視察使)
간도 여자 청년회(間島 女子 靑年會)
간도 특설 부대(間島 特設 部隊)
간도 훈춘 민회 연합회(間島 琿春 民會 聯合會)
간민회(墾民會)
개척 의학원(開拓 醫學院)
고려 공산 청년회 만주 총국(高麗 共産 靑年會 滿洲 總局)
고려 공산당 재건 만주부(高麗 共産黨 再建 滿洲部)
고려 공산 청년회(ML파)(高麗 共産靑年會(ML派))
고려 혁명군 정의회(高麗 革命軍 政議會)
고려 혁명당(高麗 革命黨)
광명회(光明會)
광복군 사령부(光復軍 司令部)
광복군 총영(光復軍 總營)
광복단(光復團)
광이 청년회(光二 靑年會)
광정단(光正團)
광한단(光韓團)
공교회(孔教會)
공립회(共立會)
공우회(工友會)
구월 청년회(九月 靑年會)
구제단(救濟團)
국민부(國民府)
국자가 유림회(局子街 儒林會)
국생사(國生寺)
구산 참안(邱山 慘案)
국자가 향도회(局子街 鄉道會)
군무 도독부(軍務 都督府)
군정서(軍政署)
권학소(勸學所)
극장(劇場)
금화 회사(金華 會社)
길림 고려 혁명당(吉林 高麗 革命黨)
길림 구국군(吉林 救國軍)
길림 군정서(吉林 軍政署)
길림 농민 호조사(吉林 農民 互助社)
길림변무독판공서(吉林邊務督辦公署)
길림 조선 교민 구축 문제 대책 강구회(吉林 朝鮮 僑民 驅逐 問題 對策 講究會)
길림 특파 주연 행정 판사처(吉林 特派 駐延 行政 辦事處)
나자구 의사부(羅子溝 議事部)
남만 유격대(南滿 遊擊隊)
남만주 철도 주식 회사(南滿州 鐵道 株式 會社)
남만 청년 총동맹(南滿 青年 總同盟)
남만 한인 청년 동맹회(南滿 韓人 青年 同盟會)
농무계(農務契)
농상회(農商會)
단지 결사대(斷指 決死隊)
대동 청년회(大同 靑年會)
대동 협신회(大東 協新會)
대진단(大震團)
대한 간도 국민회(大韓 間島 國民會)
대한 국민단(大韓 國民團)
대한 국민회 간도 직속 지회(大韓 國民會 間島 直屬 支會)
대한인 국민회 만주리아 총회(大韓人 國民會 만주리아 總會)
대한 독립 군비단(大韓 獨立 軍備團)
대한 독립 기성 총회(大韓 獨立 期成 總會)
대한 독립 의군부(大韓 獨立 義軍府)
대한 독립 의사회(大韓 獨立 議事會)
대한 독립 청년단(大韓 獨立 靑年團)
대한 독립군(大韓 獨立軍)
대한 독립단(大韓 獨立團)
대한 북로 독군부(大韓 北路 督軍府)
대한 신민단(大韓 新民團)
대한 신민회(大韓 新民會)
대한 의용군사회(大韓 義勇軍事會)
대한 정의 군정사(大韓 正義 軍政司)
대한 청년단 연합회(大韓 靑年團 聯合會)
대한 통의부(大韓 統義府)
도독부(都督府)
도문 일본 영사 분관(圖們 日本 領事 分館)
도문 일본 헌병 분대(圖們 日本 憲兵 分隊)
도회(都會)
동구 청년회(東球 靑年會)
동만 청년 의용군(東滿 青年 義勇軍)
동만 청년 총동맹(東滿 靑年 總同盟)
동만 청년 총연맹(東滿 靑年 總聯盟)
동북 항일 연군(東北 抗日 聯軍)
동북 항일 연군 제1 로군 제2 방면군(東北 抗日 聯軍 第1 陸軍 第2 方面軍)
동북 항일 유격대(東北 抗日 遊擊隊)
동아 권업 회사(東亞 勸業 會社)
동양 척식 주식 회사 간도 출장소(東洋 拓植 株式 會社 間島 出張所)
만선 척식 주식회사(滿鮮 拓殖 株式會社)
만주 고려 공산주의 청년회(滿洲 高麗 共産主義 靑年會)
만주 영화 협회(滿洲 映畵 協會)
만주 제국 협화회(滿洲 帝國 協和會)
만주 조선 시찰단(滿洲 朝鮮 視察團)
만주 채금 주식회사 훈춘 출장소(滿洲 採金 株式會社 琿春 出張所)
무간국(撫墾局)
물팔이 조합(물팔이 組合)
민생단(民生團)
민족 유일당 재만 책진회(民族 唯一黨 在滿 策進會)
민족 유일당 재만 촉진회(民族 唯一黨 在滿 促進會)
민족 혁명당(民族 革命黨)
밀산 항일 유격대(密山 抗日 遊擊隊)
반석 항일 유격대(磐石 抗日 遊擊隊)
반일 호로 연합회(反日 護路 聯合會)
백초구 조선인 민회(百草溝 朝鮮人 民會)
백산 무사단(白山 武士團)
부민단(扶民團)
부방 수전 주식 회사(富方 水田 柱式 會社)
북로 군정서(北路 軍政署)
북만 노농 의용군(北滿 勞動 義勇軍)
북만 노력 청년 총동맹(北滿 勞力 靑年 總同盟)
북만 조선 이주민 청년 총동맹(北滿 朝鮮 移住民 靑年 總同盟)
북만 조선인 청년 총동맹(北滿 朝鮮人 靑年 總同盟)
북만 청년 총동맹(北滿 靑年 總同盟)
북풍 수전 회사(北風 水田 會社)
북향회(北鄉會)
생육사(生育社)
서로 군정서(西路 軍政署)
서보강 통상분국(西保江 通商 分局)
선무반(宣撫班)
선민부(鮮民府)
수녕 반일 동맹군(綏寧 反日 同盟軍)
신민부(新民府)
신성 청년회(新星 靑年會)
신한 국민회(新韓 國民會)
신흥 학우단(新興 學友團)
아성 청년회(阿城 靑年會)
약수동 소비에트 정부(藥水洞 소비에트 政府)
양말 종업원 상조회(洋襪 從業員 相助會)
어랑촌 13용사(漁浪村 13勇士)
연길 도윤 공서(延吉 道尹 公署)
연길 변무 독판 공서(吉林 邊務 督辦 公署)
연길청(延吉廳)
연길 폭탄(延吉 爆彈)
연길 학생 총단(延吉 學生 總團)
여길 학우회(旅吉 學友會)
연길현 항일 유격대(延吉縣 抗日 遊擊隊)
연변 인민 민주 대동맹(延邊 人民 民主 大同盟)
연변 자치 촉진회(延邊 自治 促進會)
연의회(演義會)
영안 입적 간민 호회(寧安 入籍 墾民 戶會)
영안 유격대(寧安 遊擊隊)
왕청 항일 유격대(汪清 抗日 遊擊隊)
왕청현 항일 유격대(汪清縣 抗日 遊擊隊)
요하 유격대(饒河 遊擊隊)
용정 소년회(龍井 少年會)
용정 조선인 민회(龍井 朝鮮 人民會)
위간도성립 연길 의원(僞間島省立 延吉 醫院)
용정 의원(龍井 醫院)
위도문 세관(僞圖們 稅關)
의군부(義軍府)
의민단(義民團)
의성단(義成團)
의열단(義烈團)
이도선 토벌대(李道善 討伐隊)
임오 교변(壬午 敎變)
재만 농민 동맹(在滿 農民 同盟)
재만 운동 단체 협의회(在滿 運動 團體 協議會)
재만 조선 무정부주의자 연맹(在滿 朝鮮 無政府 主義者 聯盟)
재만 조선 무정부주의자 연맹(在滿 朝鮮 無政府主義者 聯盟)
재만 한인 조국 광복회(在滿 韓人 祖國 光復會)
재중 한인 청년 동맹(在中國 韓人 靑年 同盟)
적위대(赤衛隊)
정의단(正義團)
정의부(正義府)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 동만 구역국(朝鮮 共産黨 滿洲 總局 東滿區域局)
조선 국민회(朝鮮 國民會)
조선 독립 기성회(朝鮮 獨立 期成會)
조선 독립 동맹 북만 특별 위원회(朝鮮 獨立 同盟 北滿 特別 委員會)
조선 독립 동맹 지부(朝鮮 獨立 同盟 支部)
조선 독립 동맹 하동 지부(朝鮮 獨立 同盟 河東 支部)
조선 독립단(朝鮮 獨立團)
조선 의용군(朝鮮 義勇軍)
조선 혁명군(朝鮮 革命軍)
조선 혁명당(朝鮮 革命黨)
조선인 거류민회(朝鮮人 居留民會)
조선인 민회(朝鮮人 民會)
조선인 반일 단체 공립회(朝鮮人 反日 團體 共立會)
조선인회(朝鮮人會)
주중 선인 청년 동맹(駐中 鮮人 靑年 同盟)
주하 중대(珠河 中隊)
중국 공산당 동만구위(中國共産黨 東滿區委)
중국 공산당 화룡현위(中國共産黨 火龍縣委)
중광단(重光團)
중국 공산당 남만성 위원회(中國 共産黨 南滿省 委員會)
중국 공산당 주하 중심현위(中國 共産黨 珠河 中心縣委)
중서 청년회 연맹(中西 靑年會 聯盟)
참의부(參義府)
철도 보조원(鐵道 補助員)
철혈 광복단(鐵血 光復團)
철혈단(鐵血團)
청년 맹호단(靑年 猛虎團)
청년 친목회(靑年 親睦會)
초간총국(招墾總局)
특별 공작반(特別 工作班)
평우 동맹(萍友 同盟)
하얼빈 동부 교외 황산저자 농민 조합 쟁의단(哈爾濱 東部 郊外 荒山咀子 農民 組合 爭議團)
하얼빈 보안총대 조선 독립 대대(哈爾濱 保安銃隊 朝鮮 獨立 大隊)
하얼빈 보호원(哈爾濱 保護院)
하얼빈 조선인회(哈爾濱 朝鮮人會)
하얼빈시 조선인 민주 연맹(哈爾濱市 朝鮮人 民主 聯盟)
학생 친목회(學生 親睦會)
한국 귀일당(韓國 歸一黨)
한국 독립군(韓國 獨立軍)
한국 독립당(韓國 獨立黨)
한민 자치회(韓民 自治會)
한민회(韓民會)
한족 노동당(韓族 勞動黨)
한족 농무 연합회(韓族 農務 聯合會)
한족 동향회(韓族 同鄕會)
한족 자치 연합회(韓族 自治 聯合會)
한족 총연합회(韓族 總聯合會)
한족회(韓族會)
한중 연합군(韓中 聯合軍)
항일 구국군(抗日 救國軍)
항일 유격대(抗日 遊擊隊)
항일 화장 강연대(抗日 化粧 講演隊)
해도회(海島會)
협조회(協助會)
협화 방첩반(協和 防諜班)
화룡욕 분방 경력(和龍峪 分防 經歷)
화북 조선 청년 연합회(華北 朝鮮 靑年 聯合會)
회상제(會上制)
혼춘 상조회(琿春相助會)
혼춘 정신대(琿春 挺身隊)
훈춘 정의단(琿春 正義團)
훈춘 한민회(琿春 韓民會)
훈춘 탄광 주식 회사(琿春 炭鑛 株式 會社)
훈춘현 유격 총대(琿春縣 遊擊 總隊)
훈춘현 항일 유격대(琿春縣 抗日 遊擊隊)
항일 독립운동(抗日 獨立運動)
11·9 운동(11·9 運動)
15만원 탈취 사건(15萬元 奪取 事件)
3·13 반일 시위 운동(3·13 反日 示威 運動)
3·13 운동(3·13 運動)
3·20 훈춘 반일 시위 투쟁(3·20 琿春 反日 示威 鬪爭)
5·30 폭동(5·30 暴動)
5·7 반일 폭동(5·7 反日 暴動)
7인 단지 동맹(7人 斷指 同盟)
8·1 길돈 봉기(8·1 吉敦 蜂起)
간도 공산당 사건(間島 共産黨 事件)
간도 농민 투쟁(間島 農民 鬪爭)
간도 참변(間島 慘變)
간민 입적 간장(墾民 入籍 簡章)
경박호 전투(鏡泊湖 戰鬪)
고동하곡 전투(古洞河谷 戰鬪)
고마령 전투(古馬嶺 戰鬪)
길림 대검거 사건(吉林 大檢擧 事件)
길회 철도 부설 반대 투쟁(吉會 鐵道 敷設 反對 鬪爭)
나까무라 사건(나까무라 事件)
나자구 전투(羅子溝 戰鬪)
남양촌 학살 사건(南陽村 虐殺 事件)
내두산 보위전(內頭山 保衛戰)
내풍동 학살 사건(來豐洞 虐殺 事件)
대감자 공안국 분주소 습격전[1932년](大坎子 公安局 分駐所 襲擊戰)
대감자 공안국 분주소 습격전[1930년](大坎子 公安局 分駐所 襲擊戰)
대감자 학살 사건(大坎子 虐殺 事件)
대사하 전투(大沙河 戰鬪)
대약진 운동(大躍進 運動)
대왕청 학살 사건(大汪清 虐殺 事件)
대전자령 전투(大甸子嶺 戰鬪)
동경성 전투(東京城 戰鬪)
동녕현성 전투(東寧縣城 戰鬪)
마패촌 학살 사건(馬牌村 虐殺 事件)
만보산 사건(萬寶山 事件)
맹가구 서골 전투(孟家溝 西골 戰鬪)
명월구 포대산 사건(明月溝 炮臺山 事件)
목석하 참변(沐石河 慘變)
무송현성 전투(撫松縣城 戰鬪)
민족 유일당 촉성 운동(民族 唯一黨 促成 運動)
반경유 피살 사건(潘慶由 被殺 事件)
반민생단 투쟁(反民生團 鬪爭)
베감투 사건(베감투 事件)
봉오동 전투(鳳梧洞 戰鬪)
북만 한인 교육 대회(北滿 韓人 敎育 大會)
빈주 사건(賓縣 事件)
사도하자 전투(四道河子 戰鬪)
사이토총독 습격 사건(사이토總督 襲擊 事件)
삼둔자 전투(三屯子 戰鬪)
삼시 협정(三矢 協定)
삼원포 전투(三源浦 戰鬪)
삼의사 사건(三義士 事件)
삼조 사건(三肇 事件)
상발원 조선인 농민 투쟁(祥發源 朝鮮人 農民 鬪爭)
서가구 학살 사건(西家溝 虐殺 事件)
서란현 전투(舒蘭縣 戰鬪)
서래동 학살 사건(西來洞 虐殺 事件)
세린하촌 학살 사건(細鱗河村 虐殺 事件)
소왕청 보위전(小汪清 保衛戰)
소왕청 보위전(小汪清 保衛戰)
송언동 학살 사건(松堰洞 虐殺 事件)
십리평 학살 사건(十里坪 虐殺 事件)
쌍성보 전투(雙城堡 戰鬪)
쌍유면 사건(雙裕面 事件)
안중근 의거(安重根 義擧)
약수동 학살 사건(藥水洞 虐殺 事件)
어랑촌 전투(漁郎村 戰鬪)
연길 감옥 투쟁(延吉 監獄 鬪爭)
연변 철도 부설 반대 운동(延邊 鐵道 敷設 反對 運動)
영릉가 전투(永陵街 戰鬪)
완류구 전투(完류溝 戰鬪)
유동촌 학살 사건(柳洞村 虐殺 事件)
유하현 야저구 사건(柳河縣 野猪溝 事件)
육과송 전투(六棵松 戰鬪)
의란구 학살 사건(依蘭溝 虐殺 事件)
이륭양행(怡隆洋行)
일신재(日新齋)
임시 혁신 의회(臨時 革新 議會)
자유시 참변(自由市 慘變)
장암동 학살 사건(獐岩洞 虐殺 事件)
조선 혁명 청년 동맹 대회(朝鮮 革命 靑年 同盟 大會)
조선 혁명단 사건(朝鮮 革命團 事件)
중동철로 사건(中東鐵路 事件)
진채구 학살 사건(진채구 虐殺 事件)
천수동 전투(泉水洞 戰鬪)
청림교 사건(靑林敎 事件)
청산리 전투(靑山里 戰鬪)
최창호 사건(崔昌浩 事件)
추수 투쟁(秋收 鬪爭)
춘황 투쟁(春荒 鬪爭)
통북 사건(通北 事件)
팔도구 습격전(八道溝 襲擊戰)
평양촌 학살 사건(平壤村 虐殺 事件)
학서동 학살 사건(鶴栖洞 虐殺 事件)
한총령 전투(寒葱岭 戰鬪)
해구촌 농민 감조 감식 투쟁(海溝村 農民 減租 減食 鬪爭)
해란강 대학살 사건(海蘭江 大虐殺 事件)
혁신단 사건(革新團 事件)
홍기하 전투(紅旗河 戰鬪)
붉은 오월 투쟁(紅五月 鬪爭)
화전자 경찰서 습격전(花甸子 警察署 襲擊戰)
황고둔 사건(皇姑屯 事件)
혼춘 사건(琿春 事件)
흥경 사건(興京 事件)
1·26 지시 서한(1·26 指示 書翰)
대한 독립 선언서(大韓 獨立 宣言書)
동만 유격대 사업 대강(東滿 遊擊隊 事業 大綱)
재만 조선인 지도 요강(在滿 朝鮮人 指導 要綱)
조선 혁명 선언(朝鮮 革命 宣言)
조선인들의 이입을 방지할데 관한 명령(朝鮮人들의 移入을 防止할데 관한 命令)
간도에 관한 일청 협약(間島에 關한 日淸 協約)
귀화 허가 집조(歸化 許可 執照)
금천 하리 회의(金川 河裡 會議)
길림 조선 상민 무역 지방 규약(吉林 朝鮮 商民 貿易 地方 規約)
길림 조선 상민 무역 지방 장정(吉林 朝鮮 商民 貿易 地方 章程)
노령 회의(露領 會議)
대화 정책 강령(對華 政策 綱領)
도문강 중조계무 조항(圖們江 中朝界務 條款)
동변도 소속 각 현 조선인 학교 폐지 조례(東邊道 所屬 各 縣 朝鮮人 學校 廢址 條例)
만몽 조약(滿蒙 條約)
만주 선후 협약(滿洲 善後 協約)
명월구 회의(明月溝 會議)
미혼진 회의(迷魂陣 會議)
삼부 통일 회의(三府 統一 會議)
재만 조선인 이민 대책 강요(在滿 朝鮮人 移民 對策 綱要)
재만 조선인 취체 규칙(在滿 朝鮮人 取締 規則)
제1차 두도류하 회의(第1次 頭道柳河 會議)
제2차 두도류하 회의(第2次 頭道柳河 會議)
중국 조선 상민 수륙 무역 장정(中國 朝鮮 商民 水陸 貿易 章程)
한중 변계 선후 장정(韓中 邊界 善後 章程)
청도 회의(靑島 會議)
한민 관리 장정(韓民 管理 章程)
혁신 의회(革新 議會)
고용세(雇傭稅)
귀화 입적(歸化 入籍)
연통세(煙筒稅)
전민 제도(佃民 制度)
지팡 살이
초무 개간 정책(招撫 開墾 政策)
치발 역복(薙髮 易服)
칠가살(七可殺)
타조(打租)
강제 이주(强制 移住)
이주(移住)
고향둔 수전 농장(顧鄕屯 水田 農場)
금하촌 집단 부락(錦河村 集團 部落)
발해 농장(渤海 農場)
백서 농장(白西 農莊)
선목 농장[해륜시](善牧 農場[海倫市])
수전 개발(水田 開發)
안가 농가(安家 農家)
안전 농촌[안전 농장](安全 農村[安全 農場])
이민 실변 정책(移民 實邊 政策)
집단 부락(集團 部落)
평방 농장[아성현](平房 農場[阿城縣])
하동 농장(河東 農場)